서울 최초의 공원은? 고종 때 만들었다는 OO공원

시민기자 이영남

발행일 2022.09.19. 09:00

수정일 2022.09.19. 17:57

조회 944

개관 4주년을 맞이하는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에서 서울의 최초 공원인 탑골공원에 대한 전시를 하고 있다. 한양에서 처음으로 조성되었던 도시공원으로 독립공원, 왜성대공원, 탑골공원 등이 있었다. 그중에서 독립공원과 왜성대공원은 각각 위치, 조성 목적의 이유로 도시공원으로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였고, 최초의 도시공원은 '탑골공원'이라고 할 수 있다.

탑골공원은 예전에는 '파고다공원'이라고 호칭하였다. 필자는 청년시절에 근무지가 종로 쪽이라서 주로 종로에서 여가 활동하였기 때문에 파고다공원을 자주 들렀었다. 그 당시에는 노인층이 많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주로 노인층이 많아 보인다. 탑골공원에 대하여 알고 있는 것은 팔각정, 원각사지10층석탑, 손병희선생 동상, 대원각사비, 삼일문이 있다는 정도였다. 탑골공원 전시관람을 하고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어 좋았다. 이를테면, 팔각정이 군악대 연주대로 사용되다가 바가지형 목재 음악당으로 신축되었고, 일본식 정자(사아옥 四阿屋)와 화초 관리를 위한 유리온실, 끽다점(喫茶店) 상업시설인 카페 파고다가 있었고, 연못, 어린이 놀이터, JODAK이라는 라디오 탑, 아케이드가 있었다는 사실과 정문인 삼일문이 강릉 임영관의 삼문 형태를 본떠 만들었다는 것이다.

2021년 서울시 역사도심시민계획단으로 활동하면서 탑골공원을 방문하였을 때, 주변이 너무 관리가 안 된 상태였다. 탑골공원이 주로 노인층이 많이 모이는 장소이니 노인층이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원으로 만들어 주면 좋겠다고 제안하였었다. 예전보다는 깨끗하게 관리가 되고 질서가 있었다. 무더위 쉼터 텐트도 설치되었고, 무료 급식소가 있어서 노인들이 대기하는 줄이 있었다. 담장 밖으로는 장기를 두는 노인들이 많이 있었고, 장기판을 관리하는 자원봉사 부스도 있었다. 예전에는 보따리 장사하던 곳을 화분으로 정비하였고, 담배를 피고 노상방뇨를 하던 곳은 깔끔하게 청소된 상태였다. 하지만 탑골공원에는 주로 남자 노인층이 많았고 여자 노인층은 없었다. 여자 노인층이 종로에서 여가를 누릴 수 있는 공원도 조성되기를 바란다.

탑골공원은 서울에 만들어진 최초의 근대식 공원이다. 이 공원이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 이견이 있으나, 1890년대로 알려져 있다. 공원은 고종 때 총세무사로 활약한 브라운(John Mcleavy Brown, 백탁안(柏卓安))이 건의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탑골공원은 1983년 정비를 통해 조성된 모습으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탑동공원, 파고다공원 등으로 불리다가 1991년부터 공식적으로 탑골공원이 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주로 노인층이 방문하고 있는데, 경제 악화로 어려운 노인들이 증가하면서 저렴하게 시간을 보내기 위해 공원과 주변 상업시설을 방문하고 있다. 또한 도시 개발로 강남, 홍대 등에 청년층이 즐겨 찾는 새로운 문화공간이 조성되면서 젊은 방문객이 줄어들었다. 2001년에 성역화 사업으로 모든 연령층이 즐겨 찾는 도시공원으로 재정비하고자 하였으나 현재는 다시 노인층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탑골공원은 많은 사람과 시간의 흔적을 간직한 채 변함없이 자리해오고 있다. 지금은 비록 예전처럼 활성화된 모습은 찾기 힘들지만 서울 최초의 도시공원으로서 그 가치를 다시 한번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출처 :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안내문 참조>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에서  탑골공원을 전시하고 있다.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에서 탑골공원 관련 기획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영남
탑골공원 정문에 해당하는 삼일문의 모습은 강릉 임영관 삼문의 형태이다.
탑골공원 정문인 삼일문은 강릉 임영관 삼문의 형태를 본떠 만들었다. ⓒ이영남
탑골공원 정문에 해당하는 삼일문의 현판과 배흘림 기둥 모양
탑골공원 정문에 해당하는 삼일문의 현판과 배흘림 기둥 모양 ⓒ이영남
임영관 삼문은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이다. 강원도 내 건축물 중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문화재이며, 간결하고 소박한 주심포계(柱心包) 양식과 맞배지붕의 삼문(三門)이다.
강릉 임영관 삼문은 고려 말에 지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문이다. 간결하고 소박한 주심포계(柱心包) 양식과 맞배지붕의 삼문(三門)이다. ⓒ이영남
3.1운동 발상지로서 가치를 드높이고자 1960년대에 3.1독립선언기념탑, 손병희 선생 동상 등을 건립하였다.
3.1운동 발상지로서 가치를 드높이고자 1960년대에 3.1독립선언기념탑, 손병희 선생 동상 등을 건립하였다. ⓒ이영남
팔각정은 1902년(광무)에 탑골공원 안에 지은 팔각형 정자다. 이곳은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곳이다.
팔각정은 1902년(광무)에 탑골공원 안에 지은 팔각형 정자다. 이곳은 1919년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시작된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곳이다. ⓒ이영남
1963년에 보물로 지정, 현재는 보호각을 설치하여 보전 중이다. 원각사지10층석탑과 함께 탑골공원의 전신인 원각사의 옛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대원각사비는 본래 탑골공원 자리에 위치해 있던 조선시대 왕실사찰인 원각사의 창건 내력을 담고 있다. 1963년에 보물로 지정, 현재는 보호각을 설치하여 보전 중이다. 원각사지10층석탑과 함께 탑골공원의 전신인 원각사의 옛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 ⓒ이영남
대원각사비
대원각사비 ⓒ이영남
탑골공원 조성 전의 원각사지10층석탑과 대원각사비의 모습
공평도시유적전시관에서 전시된 탑골공원 조성 전 원각사지10층석탑과 대원각사비의 모습 ⓒ이영남
원각사지10층석탑(국보 제2호, 세조 12년(1467년))은 세조가 세운 원각사(圓覺寺) 터에 남아 있는 높이 12m의 10층 석탑이다.
원각사지10층석탑(국보 제2호, 세조 12년(1467년))은 세조가 세운 원각사(圓覺寺) 터에 남아 있는 높이 12m의 10층 석탑이다. ⓒ이영남
亞자 모양의 기단은 세 겹인데, 아래에는 용과 연꽃 같은 무늬를 새겼고, 중간에는 삼장법사(三藏法師)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일행이 인도에서 불법(佛法)을 구해 오는 과정을 그려 새겼다.
亞자 모양의 기단은 세 겹인데, 아래에는 용과 연꽃 같은 무늬를 새겼고, 중간에는 삼장법사(三藏法師)와 손오공, 저팔계, 사오정 일행이 인도에서 불법(佛法)을 구해 오는 과정을 그려 새겼다. ⓒ이영남
아케이드 안쪽 벽에는 3.1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민족대표 33인의 모습을 조각하였다.
아케이드 안쪽 벽에는 3.1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민족대표 33인의 모습을 조각하였다. ⓒ이영남
3.1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조성된 민족대표 33인의 모습
3.1운동 정신을 기리고자 조성된 민족대표 33인의 모습 ⓒ이영남
공평도시유적전시관 내부 탑골공원 전시장
공평도시유적전시관 내부 탑골공원 전시장 ⓒ이영남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탑골공원 전시 안내문과 설문지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탑골공원 전시 안내문과 설문지 ⓒ이영남
개관 4주년을 맞이하는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전시실 내부
개관 4주년을 맞이하는 공평도시유적전시관 전시실 내부. 해설프로그램도 운영된다. ⓒ이영남
탑골공원 담장 외부에서는 장기를 두고 있는 노인층들이 많았다.
탑골공원 담장 외부에서는 장기를 두고 있는 노인층들이 많았다. ⓒ이영남
탑골공원 재정비 사업으로 발굴된 우물
탑골공원 재정비 사업으로 발굴된 우물 ⓒ이영남

공평도시유적전시관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우정국로 26 센트로폴리스빌딩 지하1층
○ 관람시간 : 09:00~18:00(입장마감 : 17:30) , 매주 월요일 정기휴무
○ <서울 최초의 도시공원, 탑골공원> 전시 : 7월22일 ~ 2023년3월19일
○ 관람료 : 무료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공평도시유적전시관
관람해설 예약
○ 해설 시간 : 11:00, 14:00, 16:00 총 3회차 진행
○ 문의 : 02-724-0135

탑골공원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99

시민기자 이영남

서울시의 정책 상황을 직접 체험해보고 기사를 작성하는 서울시민기자가 되겠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