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평화문화진지

시민기자 하정희

발행일 2021.06.30. 13:46

수정일 2021.06.30. 13:47

조회 700

공간재생사업으로 새롭게 태어난 평화문화진지
공간재생사업으로 새롭게 태어난 평화문화진지 ⓒ하정희

분단의 상징, 대전차 방호시설

6·25전쟁 71주년을 맞이했다. 눈부신 발전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분단 상황을 잊고 살지만 엄연한 우리의 현실이다. 1950년 6·25 전쟁 시작 후 북한군은 전차부대를 앞세워 순식간에 서울을 점령했다. 

이후 북한의 재침에 대비해 서울로 진입하는 길목에 대전차 방호시설을 지었다. 군사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대전차 방호시설의 2층에서 4층 부에는 도봉구 최초 시민 아파트가 들어섰다. 2000년대 초반 시민 아파트는 노후화로 철거되고 1층 대전차 방호시설은 역사적 가치에서 그대로 두었지만,  오랫동안 방치되어 흉물로 전락했다. 

그러나 현재는 공간재생사업을 통해 옛 대전차 방호시설의 모습을 간직한 채 예술가와 시민이 소통하는 문화예술공간, 평화문화진지로 새롭게 태어났다. 분단의 상징에서 문화예술의 아이콘으로 새로운 평화를 뿌리내리고 있다.
대전차 방호시설의 흔적
대전차 방호시설의 흔적 ⓒ하정희

군사시설과 시민 아파트의 조합이 흥미롭다. 유사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군인들이 거주하는 동시에, 군사시설을 민간시설로 위장할 목적이었다고 한다. 
공연장, 창작공간, 전시장 등 다양한 문화시설을 갖추고 있다.
공연장, 창작공간, 전시장 등 다양한 문화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정희

평화문화진지는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공간이면서, 공연장과 창작 공간, 전시장, 책방, 카페 등 예술을 매개로 다채롭게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다양한 영역의 예술가들에게 창작 공간을 제공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 지원하고 있다. 또한, 일상예술 워크숍, 작가 연계 프로그램, 다락장, 시민기획 프로그램 등 여러 가지 지역 연계 프로젝트를 통해 지역 생활 속에 예술문화가 자리 잡는데 기여하고 있다. 
평화문화진지 내 진지한 책방
평화문화진지 내 진지한 책방 ⓒ하정희

개인의 기증도서로 마련된 진지한 책방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매월 시민 강좌도 열린다.
평화문화진지 내 전시공간
평화문화진지 내 전시공간 ⓒ하정희

진지한 책방 안쪽에는 전시 복도가 있다. 옛 모습이 그대로 보존된 소총 저격 공간 사이사이 평화문화진지가 되기까지의 변천사를 살펴볼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나랏일을 하는 관리들이 쉬어가는 다락원이 있던 자리였고 6·25 전쟁 시에는 남침의 진격로로, 산업화 시대에는 서울 도시의 상징인 시민 아파트로 변모해온 과정을 생생한 사진과 영상으로 접할 수 있다.
넓은 야외 광장은 또 다른 휴식처가 된다.
넓은 야외 광장은 또 다른 휴식처가 된다 ⓒ하정희
평화문화진지 옆 창포원
평화문화진지 옆 창포원 ⓒ하정희

자연이 안겨주는 휴식처

넓은 야외 광장과 잔디밭은 또 다른 휴식처를 제공한다. 텐트를 치고 쉬거나 배드민턴을 치며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바로 옆 창포원과 다락원체육공원에도 가족끼리 친구끼리 모임이 마냥 여유롭고 즐거워 보였다. 평화문화진지는 역사와 문화를 향유하며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이었다. 많은 시민이 추억을 쌓으며 쉴 수 있는 명소로 자리 잡길 바란다.

■ 평화문화진지

○ 위치 : 서울 도봉구 마들로 932
○ 운영시간 : 10:00 ~ 18:00
○ 휴무일 : 매주 월요일
홈페이지
○ 문의 : 02-3494-1970

시민기자 하정희

서울 이곳저곳의 다양한 정보를 친근하게 전하는 시민기자가 되고 싶습니다.

매일 아침을 여는 서울 소식 - 내 손안에 서울 뉴스레터 구독 신청 내가 놓친 서울 소식이 있다면? - 뉴스레터 지난호 보러가기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의 장이므로 서울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전자민원 응답소 누리집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성 광고, 저작권 침해, 저속한 표현, 특정인에 대한 비방, 명예훼손, 정치적 목적,
유사한 내용의 반복적 글, 개인정보 유출,그 밖에 공익을 저해하거나 운영 취지에 맞지
않는 댓글은 서울특별시 조례 및 개인정보보호법에 의해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응답소 누리집 바로가기